728x90
반응형

1. (가)는 데이터 가공 및 상관관계의 이해를 통해 패턴을 인식하고 그 의미를 부여한 것이며, 지식을 도출하기 위한 재료가 된다.

정답
정보(Information)
 

2. (가)는 기업이 외부 공급업체 또는 제휴업체와 통합된 정보시스템으로 연계하여 시간과 비용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자재 구매, 생산, 제고 ,유통 ,판매, 고객 데이터로 구성된다.

정답
SCM(Supply Chain Management)
 

3.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주제 중심적으로 통합적이며 시간성을 가지는 비휘발성 데이터의 집합을 (가)라고 한다.

정답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4. 문자, 기호, 음성, 화상, 영상 등 상호 연관된 다수의 콘텐츠를 정보 처리 및 정보통신 기기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수집/축적하여 다양한 용도와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정보의 집합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데이터베이스(Database)
 

5.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이며, 사물에서 생성되는 Data를 활용한 분석을 통해 마케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정답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6. 이것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한다. 구글의 Google Glass, 나이키의 Fuel band 등이 있다.

정답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7.

- 생명의 진화를 모방하여 최적해(Optimal Solution)를 구하는 알고리즘으로 존 홀랜드(John Holland)가 1975년에 개발하였다.

- '최대의 시청률을 얻으려면 어떤 시간대에 방송해야 하는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된다.

- 어떤 미지의 함수 Y=f(x)를 최적화하는 해 x를 찾기위해, 진화를 모방한 탐색 알고리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답
유전자 알고리즘(Generic Algorithm)
 

8.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는 학문으로, 통계학과는 달리 정형 또는 비정형을 막론하고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
 

9.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갖춰야할 역량은 빅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기술적 숙련에 관련된 능력인 (가) 와 데이터 속에 숨겨진 가치를 발견하고 새로운 발전 기회를 만들어 내기 위한 능력인(나)로 이루어진다.

정답
(가) 하드 스킬
(나) 소프트 스킬
 

10. 지난 몇 년간 여러 사일로 대신 하나의 데이터 소스를 추구하는 경향이 생겼다. 전사적으로 쉽게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별도로 정제되지 않은 자연스러운 상태의 아주 큰 데이터 세트인 (가)을/를 기업들이 구현하는 것은 2017년 새롭게 등장한 트랜드가 아니다. 그러나 2017년은 이를 적절히 관리해 운영하는 첫해가 될 전망이다.

정답
데이터 레이크
 

11. (가)는 지역별 매출액, 영업이익률, 판매량과 같이 수치로 명확하게 표현되는 데이터로, 그양이 크게 증가하더라도 이를 DBMS에 저장, 검색, 분석하여 활용하기가 용이하다.

정답
정량적 데이터
 

12.

- 페이스북은 2006년 F8 행사를 기점을 자신들의 소셜 그래프 자산을 외부 개발자들에게 공개하고 서드파티 개발자들이 페이스북 위에서 작동하는 앱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가)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 하둡은 대규모 분산 병렬 처리의 업계 표준으로 맵리듀스 시스템과 분산 파일 시스템인 HDFS로 구성된 (가) 기술이며, 선형적인 성능과 용량 확장성, 고장 감내성을 가지고 있다. 아마존(Amazon)은 S3 와 BC2 환경을 제공함으로 써 (가)을/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최초로 실현 하였다.

정답
플랫폼(Platform)
 

13. 개인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고 통계 응답자의 비밀사항은 보호하면서 통계자료의 유용성을 최대한 확보 할 수 있는 데이터변환 방법은 무엇인가?

정답
마스킹(Masking)
 

14. 데이터 (가)란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일관성, 유효성, 신뢰성을 보장하기 이해 데이터 변경 혹은 수정시 여러가지 제한을 두어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증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무결성(Integrity)
 

15. 인터넷상의 서버에서 데이터 저장, 처리,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을 통해 I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하는 혁신적인이 컴퓨팅 기술은 무엇인가?

정답
클라우드 컴퓨팅
 

16. (가)(이)란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학문으로, 통계학과는 달리 정형 또는 비정형을 막론하고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또한 분석에 초점을 두는 데이터 마이닝과는 달리 (가)는 분석 뿐만 아니라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전달하는 과정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정답
데이터 사이언스
 

17. 다음에 설명하에 맞는 데이터 유형은 무엇인가?

- 데이터의 가공 및 상관관계 간 이해를 통해 패턴을 인식하고 의미를 부여한 데이터

- 지식을 도출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정답
정보
 

18. 기업내부 데이터 베이스 중 기업 전체가 경영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경영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보의 통합을 위해 기업의 모든 자원을 최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업 경영 정보시스템

정답
ERP
 

19.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스스로 많은 데이터를 분석해서 패턴과 규칙을 찾아내고, 학습된 패턴과 규칙을 활용하여 분류나 예측을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머신러닝(또는 기계학습)
 

20. 조직 내 구성원들이 축적하고 있는 노하우 등 암묵적 지식을 형식지로 표출화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조직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지식자원을 체계화하고 원활하게 공유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KMS(지식관리시스템)
 

21. 데이터 사이언스란 데이터로 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학문이다. 통계학이 정형화된 실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는 것에 비해, 데이터 사이언스는 정형 또는 (가)을/를 막론하고 인터넷, 휴대전화, 감시용 카메라 등에서 생성되는 숫자와 문자, 영상 정보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다.

정답
비정형
 
728x90
반응형

'Certificate > AD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P] 공부 - 3과목  (2) 2023.10.16
[ADsP] 공부 - 2과목  (0) 2023.10.16
[ADsP] 공부 - 1과목  (1) 2023.10.15
[ADsP] 단답형 문제 정리 - 3과목  (1) 2023.10.15
[ADsP] 단답형 문제 정리 - 2과목  (0) 2023.10.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