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합리적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소로 표현방식 및 발표자에 따라 동일한 사실에도 판단을 달리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정답
프레이밍 효과
 

2. (가) 모델은 반복을 통하여 점증적으로 개발하는 방법으로 처음 시도하는 프로젝트에 적용이 용이하지만, 반복에 대한 관리 체계를 효과적으로 갖추지 못한 경우 복잡도가 상승하여 프로젝트 진행이 어려울 수 있다.

정답
나선형(Spiral)
 

3. 문제 탐색을 통해서 식별된 비즈니스 문제를 변환하는 단계로써, 문제 탐색 단계가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수행해야 하는가에 대한 관점이었다면, (가) 단계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 및 기법(How)을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의 문제로의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정답
문제 정의
 

4. 문제가 주어지고 이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하여 각 과정이 체계적으로 단계화되어 수행하는 분석과제 발굴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하향식 접근 방식
 

5. 조직의 분석 및 활용을 위한 역량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도입→(가)→확산→최적화'의 분석 성숙도(Maturity) 단계 포지셔닝을 파악한다.

정답
활용
 

6. 전사차원의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표준화된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및 저장소를 구축하는 것

정답
데이터 거버넌스
 

7. 분석 방법론의 "시스템 구현" 단계에서 시스템으로 구현된 모델은 검증(Verification&Validation) 위하여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등을 실시한다. 이중 (가) 테스트는 품질관리 차원에서 진행함으로써 적용된 시스템의 객관성과 안정성으 확보한다.

정답
시스템
 

8.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에서 데이터 저장소(Repository) 관리란 메타 데이터 및 표준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전사 차원의 저장소로 구성된다. 저장소는 데이터 관리 체계 지원을 위한 (가) 및 관리용 응용소프트웨어를 지원하고 관리 대상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데이터 구조 변경에 따른 (나)도 수행되어야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정답
(가) 워크 플로우
(나) 사전 영향 평가
 

9. 분석 모델을 가동중인 운영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델에 대한 상세한 "알고리즘 설명서" 작성이 필요하다. "알고리즘 설명서"는 "시스템 구현"단계에서 중요한 입력 자료로 활용되므로 필요시 (가) 수준의 상세한 작성이 필요하다.

정답
의사 코드
 

10. 분석 과제 관리 프로세스는 크게 과제 발굴과 (가)(으)로 나누어진다. 조직이나 개인이 도출한 분석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를 과제화하여 중석 과제 풀(Pool)로 관리하면서 분석과제가 확정되면 (나), (다), (라), 분석과제 결과 공유선의 분석과제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정답
(가) 과제 수행
(나) 팀 구성
(다) 분석과제 수행
(라) 분석과제 진행관리
 

11.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9가지 블록을 단순화하여 (가), (나), 고객단위로 문제를 발굴하고 이를 관리하는 규제와 감사, (다) 영역으로 나눠 분석 기회를 도출한다.

정답
(가) 업무
(나) 제품
(다) 지원인프라
 

12. KDD 분석 방법론에서 잡음, 이상치, 결측치를 식별하여 분석용 데이터 셋을 선택하고 분석에 필요한 변수 등을 선정하는 단계와 유사한 CRISP-DM 방법론의 단계는?

정답
데이터준비
 

13. 분석용 데이터를 이용한 가설 설정을 통하여 통계모델을 만들거나 기계학습을 이용한 데이터의 분류, 예측, 군집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델을 만드는 과정

정답
모델링
 

14. 소프트웨어와 시스템공학의 역량 숙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델로 소프트웨어 품질보증과 시스템 엔지니어링 분야의 품질보증 기술을 통합하여 개발된 평가모델로 1~5단계로 구성된 성숙도 모델은?

정답
능력 성숙도 통합모델(CMMI,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15.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는 시스템의 중장기 로드맵을 정의하기 위한 (가)을(를) 수행한다. (가)은(는) 정보기술 또는 정보시스템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직 내/외부 환경을 분석하여 기회나 문제점을 도출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시스템 구축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 중장기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는 절차이다.

정답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17. 데이터 분석 기획을 위해서 데이터 분석 수준 진단이 필요하다. 분석 준비도와 분석 성숙도를 통해 데이터 분석 수준을 진단하게 되는데, 분석 준비도 6개의 영역 중 2가지를 적으시오.

정답
분석 업무, 분석 인력/조직, 분석 기법, 분석 데이터, 분석 문화, 분석 인프라
 

18. 풀어야 할 문제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해당 문제를 해결했을 때 발생하는 효과를 명시함으로써 향후 데이터 분석 문제로의 전환 및 적합성 평가에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무엇인가?

정답
분석 유즈 케이스
 

19. 데이터 거버넌스란 전사차원의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정책 및 지침, 표준화, 운용조직 및 책임 등의 표준화된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 및 저장소(Repository)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가), (나), (다)는 데이터 거버넌스의 중요한 관리 대상이다.

정답
(가)마스터 데이터
(나)메타 데이터
(다)데이터 사전
 

20. (가)은(는) 전략적 중요도가 핵심이며, 이는 현재의 관점에서 전략적 가치를 둘 것인지, 미래의 중장기적 관점에 전략적인 가치를 둘 것인지 고려하고, 분석 과제의 목표가치를 함께 고려하여 (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답
시급성
 

21. 데이터 분석 도입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준비도의 6가지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운영시스템 데이터 통합, 빅데이터 분석 환경, 통계분석 환경 등을 진단하는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정답
IT 인프라
 

22. 아래에서 설명하는 데이터 분석 조직 구조는 무엇인가?

- 전사 분석업무를 별도의 분석 전담 조직에서 담당

- 전략적 중요도에 따라 분석조직이 우선순위를 정해서 진행 가능

- 현업 업무부서의 분석업무와 이중화/이원화 가능성 높음

정답
집중구조
 
728x90
반응형

'Certificate > AD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P] 공부 - 3과목  (2) 2023.10.16
[ADsP] 공부 - 2과목  (0) 2023.10.16
[ADsP] 공부 - 1과목  (1) 2023.10.15
[ADsP] 단답형 문제 정리 - 3과목  (1) 2023.10.15
[ADsP] 단답형 문제 정리 - 1과목  (0) 2023.10.14

+ Recent posts